신사가 헐리고 1950년 전쟁 후엔 용두산에 판자촌이 형성되었다. 1954년 대화재로 판자촌이 초토화 되어 철거된 후 1955년 용두산은 다시 공원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이름은 용두산이 아닌 이승만의 호를 딴 우남공원이었다. 용두산이 그 이름까지 다시 환원된 것은 1960년 4.19혁명 후이다. 지금 이용하는 용두산 길들은 1915년 용두산공원이 만들어질 때 형성된 길들이다.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광복동에서 공원 올라가는 194계단 길에 지금은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있다. 첫번째 에스컬레이터가 끝나는 지점에 미타선원이 있는데 그곳 법당에서 내려다보면 가림막에 둘러싸인 계단이 마치 용의 몸통처럼 산을 감싸고 올라가 용두산이란 이름에 그대로 맞아 떨어지는 풍경을 연출한다. 부산호텔에서 올라가는 길이..
일본은 초량왜관 설치와 동시에 3개의 신사를 건립했다. 용두산에 금도비라신사(고토히라진자)와 변재천신사(벤자이텐진자)를 세웠고, 용미산엔 옥수신사(타마다레진자)를 세웠다. 그 후 도하신사(이나리진자)와 조비내신사(아사히나진자)를 더 세워 초량왜관에 모두 5개의 신사가 있었다. 초량왜관의 신사들은 기복신앙적 성격의 제신들을 주로 모셨다. 금도비라신사와 조내비신사는 항해의 안전을 기원하는 신사였고 변재천신사와 도하신사는 재물신과 상업신이었다. 용미산의 옥수신사만 유일하게 고대 전설적 무장과 관련된 신사였다. 출처 : 일본위키피디아 금도비라궁 이들 신사들 중 가장 중심적인 신사는 대마도주 요시자네가 용두산 꼭대기에 세운 금도비라신사다. 금도비라신사는 개항 후 1894년 거류지신사로 개칭되었다가 1899년 다시..
초량왜관엔 문이 3개 있었다. 연향대청에 잔치가 베풀어질 때 일본 사신들만 출입하는 연향문이 북쪽에, 죽은 일본인의 시신을 운반하는 수문(水門 )이 남쪽에, 초량왜관의 주요 출입문인 수문이 동쪽에 있었다. 초량왜관을 노래했던 지로우에몽은 수문(守門 )을 나서면 오른쪽엔 오륙도 왼쪽엔 산이 보인다고 했고 2정(약 216미터) 정도 걸어가면 자그마한 언덕들이 나온다고 했다. 변박의 초량왜관도는 지로우에몽의 묘사와 일치한다. 돌담을 꺽어 만든 수문(守門)의 오른쪽은 바다고 왼쪽은 산이다. 수문(守門)에서 해변을 따라 북쪽의 좀 떨어진 곳에는 언덕들이 보인다. 초량왜관은 동래부에서 발행하는 첩문을 가진 자가 아니면 출입을 할 수 없었다. 일본인은 수문(守門) 밖을 나갈 수 있었지만 제한된 구역이었고 석양 무렵에..
최근 부산역 입구가 바뀌었습니다. 앞쪽으로 나온 계단을 지금은 옆으로 돌렸습니다. 과거부터 찾아보니 부산역 입구는 짧아짐의 역사였더군요. 1994년 찍은 사진입니다. 에스컬레이터 없이 완만한 경사로입니다. 2016년 모습입니다. 2004년 ktx 개통과 함께 만들어졌는데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면서 계단 경사가 가팔라졌습니다. 2017년 현재입니다. 앞으로 나왔던 계단을 옆으로 돌렸습니다. 그리고 이 모습은 2018년 1월 예상되는 모습입니다. 부산역 입구에 계단식으로 정원이 조성된 거 같습니다.
이름도 고귀한 / 오륙에 비치는 / 달빛이여동향의 종을 치는 / 신을 맞이하는 / 사람일세 이 시는 1806년 초량왜관에 머물렀던 오가와 지로우에몽이 지은 단가다. 지로우에몽은 8개월 동안 초량왜관 머물면서 175수의 시를 썼다. 지로우에몽이 저녁을 알리는 종소리를 들으며 달빛에 비친 오륙도를 감상한 곳이 바로 왜관 내 사찰 동향사다. 지로우에몽이 남긴 글에는 또 다른 동향사도 하나 나온다. 가을 피안일에 고왜관(두모포왜관)에 성묘를 갔는데 그때 남긴 글에 "전하는 말에 따르면 이곳이 옛 동향사의 우물이다"라는 얘기가 나온다. 고왜관은 초량왜관 이전에 있었던 왜관이다. 동향사는 고왜관 시절부터 왜관 내에 확실히 자리잡고 있던 주요한 건축물이었다. 동향사에선 왜관에서 사망한 사람의 법요나 일상적 법회가 열..
1990년 일본은 방문한 노태우 전 대통령은 궁중만찬회에서 한일우호를 강조하며 일본의 역사적 인물 한 명을 언급했다. 그런데 그 말 때문에 일본에선 난리가 났다. 노태우 전 대통령이 말한 그 이름을 아는 일본 사람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노태우 전 대통령이 언급한 인물은 300년 전 조선외교전문가로 활동한 유학자 아메노모리 호슈다. 호슈는 1702년부터 조선을 드나들었는데 1728년에는 실무외교에서는 최고의 직위라 할 수 있는 재판(왜)의 자격으로 조선에 왔다. 유학자가 외교관으로 이름을 떨친 것은 조선과의 외교를 전담했던 쓰시마번이 유학의 나라 조선과의 외교를 유학자에게 맡겼기 때문이다. 외교관으로서 호슈의 사상은 지금봐도 놀랄 정도로 객관적이고 세련됐다. 호슈는 임진왜란을 대의명분이 없는 살상극으로..
개시대청은 관수가, 재판가와 함께 동관의 3대청이다. 관수가와 재판가가 각각 왜관의 행정과 외교의 중심이었다면 개시대청은 무역의 중심이었다. 매월 6회 조선과 일본의 상인들이 개시대청에 모여 교역을 했다. 당시 부산은 변방 중에 변방이었지만 무역만큼은 조선을 넘어 동북아의 중심지였다. 조선시대 최고의 부자 변승업은 초량왜관에서 부를 모았을 정도였다. 왜관 무역을 독점한 대마도의 1691년 사무역 거래표엔 조선과의 무역으로 거둔 이윤이 3,577관(금 7만냥)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현재 금 시세로 계산하면 약 1500억원 정도가 된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매출이 아니고 이윤이다. 조선은 사무역 금지를 원칙으로 했다. 그러나 왜관의 사무역은 허가했는데 1610년 영의정인 이덕형의 국왕에 대한 전언 속에 그 사..
건물이 하나도 남아있지 않은 초량왜관에서 그나마 가장 뚜렸한 흔적을 남기고 있는 것이 바로 관수가다. 관수가는 거의 원형 그대로 보존된 계단뿐 아니라 계단 위 지적도에서도 그 흔적이 확인이 된다. 관수가 터의 현재 건물들은 관수가 돌담선을 따라 조성되어 있고 그 뒤 봉수대로 올라가는 계단(B지점)도 관수가 시대부터 있었던 계단이다. 관수가는 전문적인 연구자가 아닌 일반인의 눈으로도 그 흔적을 확인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 관수가 위치를 찍은 사진이 구한말부터 일제시대까지 꽤 남아있어 그런 건데 계단을 기준으로 사진들을 살펴보면 건물들과 주변 모양이 조금 바뀌었을뿐 관수가 터는 그 형태가 그대로임을 알 수 있다. 관수가 위치가 사진으로 많이 남은 것은 이후 그 곳에 관청 건물이 들어섰기 때문이다. 일본은 초..
부산에서 일본인을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동네를 꼽으라면 단연 동광동이다. 동광동의 부산호텔은 일본인 전용호텔이라 할 정도로 일본인들이 쉴새없이 드나들고 거기서 부산데파트에 이르는 거리는 일본어 간판을 내건 상점들이 즐비하다. 일본인들을 위한 숙박시설과 상가가 밀집해 있는 건 지리적 잇점 때문만은 아니다. 동광동의 일본인 거리는 그보다 더 근원적인 역사적 유래가 있다. 1876년 조선을 강제로 개항시킨 일본은 년 50엔을 주고 부산에 일본의 전관거류지를 만들었는데 바로 그 거류지의 중심 지역이 지금의 동광동이다. 동광동에 거류민을 위한 일본영사관이 세워졌고 1910년 일본이 조선을 병탄하면서 영사관은 부산의 행정 중심인 부산부청으로 바뀌었다. 해방 후 부산을 찾는 일본인들은 그들이 익숙한 동광동을 먼저 ..
부산 용두산공원 올라가는 마지막 계단 입구에 보면 표지석이 하나 눈에 띈다. 가까이 다가가서 보면 이 표지석은 좀 뜬금없다는 느낌을 갖게 한다. 부산의 랜드마크인 용두산공원 입구에서 기대했던 그런 표지석이 아니기 때문이다. 표지석엔 용두산공원과의 관련성을 알기 힘든 '초량왜관'이 박혀있다. 초량왜관과 용두산공원은 무슨 관계가 있는 걸까? 표지석의 안내문에는 "용두산공원과 주변은 조선후기 초량왜관이 있었던 곳"이라고 적혀있다. 하지만 이 말을 실감하기란 어렵다. '초량왜관'이란 이름 자체가 대부분의 방문객들에게 생소한데다 용두산공원은 물론이고 그 주변에는 짐작해볼만한 초량왜관의 흔적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현재 초량왜관은 과거의 그림과 기록을 통해서만 만날 수 있다. 그중에서 가장 자주 소개되는 것 중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