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난해 철도노동조합은 사측의 성과연봉제 강행에 74일이라는 최장기간 파업으로 대응했다. 국회 중재 요청도 거부한 사측은 30명의 조합원을 해고하고 KTX 외주화 등 독단적인 구조조정 프로그램도 시도했다. 탄압과 제갈길로 일관하면서 사측은 노조에게 복귀할 명분조차 주지 않았다. 양대 노총은 지난 7월 18일 홍순만 코레일 사장을 적폐 기관장 10명 중 첫 번째로 지목하였다. 10일 뒤인 28일 홍순만 사장은 자리에서 물러났다.


부산지하철노동조합도 성과연봉제에 맞서 3차례 파업을 단행했고 철도노동조합과 다르지 않은 탄압을 겪었다. 사측은 조합간부 7명을 해고하고 재창조프로젝트라는 1천명 구조조정 외주화 프로그램도 발표했다. 그러나 부산지하철엔 탄압만 있고 이후 청산은 없었다. 부산지하철 박종흠 사장은 물러나지 않았다. 거기다 한 술 더 떠 임기가 종료되는 10월 이후 연임 소식까지 들려온다.

 

문재인 정부의 적폐청산이 착착 진행되고 있다. 국정원은 국내파트를 폐지하고 적폐청산 TF를 가동하기 시작했다. 검찰은 인사를 일신하고 박근혜 정권의 국정농단사건은 물론 이명박 정권의 국정원 댓글사건까지 재수사에 나섰다. 그러나 중앙의 이런 움직임과 달리 지역에선 아직 적폐청산의 기운을 감지하기 어렵다.





박근혜 정권의 문화계 블랙리스트로 가장 크게 타격을 받은 것이 부산국제영화제다. 권력의 압박으로 이용관 집행위원장이 떠났고 영화제 예산도 대폭 삭감되었다. 반발한 영화단체들이 보이콧하고 관객들도 등을 돌리면서 부산시민이 20년간 키워온 BIFF 브랜드 가치는 땅바닥에 떨어졌다. 정권이 바뀌었음에도 올해 부산국제영화제의 성공적 개최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영화계에선 서병수 부산시장의 사과 등을 요구하고 있지만 부산시는 권력의 압박이 있었다는 여러 정황과 증언에도 불구하고 부산국제영화제를 탄압한 적이 없다며 부인하고 있다. 


엘시티 비리는 부산시민들에겐 반드시 풀어야할 숙제 같은 적폐다. 현기환 전 청와대 정무수석, 배덕광 현 국회의원, 허남식 전 부산시장 등 부산의 쟁쟁한 정치인들이 뇌물수수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을 정도로 엘시티 비리는 광범위하고 뿌리가 깊다. 그러나 현재까지 수사결과는 2조 7천억 사업비의 엘시티 비리를 설명하기엔 고리가 약하고 전체적인 그림도 미진하다. 검찰은 최측근 2명이 구속된 서병수 부산시장에 대해선 ‘인지 여부를 확인하지 못했다’며 수사조차 하지 않았다. 이런 수사로 10년 가까이 엘시티 논란을 지켜본 부산시민을 납득시키기 어렵다. 현재로선 특검이 해법이다. 그러나 특검을 합의했다는 국회가 특검법 제정에 나서지 않으면서 엘시티특검이 무산되는 거 아닌가 하는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 


적폐청산도 중앙과 지역의 차별이 있어선 안된다. 지역은 적폐청산 드라마의 관객이 아니다. 지역도 적폐청산 참여로 정권교체 효능감을 느껴야 한다. 지방 정권을 바꿔야 한다는 말로 넘어가서도 안된다. 그러면 지방정권이 바뀌지 않으면 적폐를 그대로 둘 건가? 적폐세력들에게 숨을 곳을 줘선 안된다. 문재인 정부가 지역 적폐청산에 하루빨리 나서길 바란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