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부산 용두산공원 올라가는 마지막 계단 입구에 보면 표지석이 하나 눈에 띈다. 가까이 다가가서 보면 이 표지석은 좀 뜬금없다는 느낌을 갖게 한다. 부산의 랜드마크인 용두산공원 입구에서 기대했던 그런 표지석이 아니기 때문이다. 표지석엔 용두산공원과의 관련성을 알기 힘든 '초량왜관'이 박혀있다.

 

초량왜관과 용두산공원은 무슨 관계가 있는 걸까? 표지석의 안내문에는 "용두산공원과 주변은 조선후기 초량왜관이 있었던 곳"이라고 적혀있다. 하지만 이 말을 실감하기란 어렵다. '초량왜관'이란 이름 자체가 대부분의 방문객들에게 생소한데다 용두산공원은 물론이고 그 주변에는 짐작해볼만한 초량왜관의 흔적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변박의 초량왜관도


 

현재 초량왜관은 과거의 그림과 기록을 통해서만 만날 수 있다. 그중에서 가장 자주 소개되는 것 중 하나가 조선 후기 화가 변박이 그린 초량왜관도(1783년 작품)이다. 그의 그림을 보면 초량왜관의 위치와 규모를 잘 알 수 있다. 장방형의 담으로 둘러싸인 지역이 초량왜관이고 그 중앙의 산은 용두산이다. 용두산은 초량왜관을 둘로 갈랐는데 동남쪽은 동관, 서쪽은 서관이다. 초량왜관의 부지는 10만평 정도로 추정되는데 1675년부터 1678년까지 3년에 걸쳐 125만명의 인원이 투입되어 만들어졌다.



1903년 부산지도


 

1903년 부산 지도를 보면 초량왜관을 좀 더 가깝게 느낄 수 있다. 지도 중심의 산이 용두산이고 오른쪽 맨아래 부분이 현재 롯데백화점 위치이다. 오른쪽 위 바다 부분 점선은 당시 매립계획지역인데 현재 모두 매립된 상태다. 변박의 그림에 있는 방파제가 1903년 지도에 그대로 남아있음을 볼 수 있는데 선창의 방파제와 용두산을 기준으로 두 그림을 맞춰보면 지금의 초량왜관의 위치를 대략 짐작해볼 수 있다.





초량왜관이 자주 소개되는 기록으로는 변례집요가 있다. 변례집요는 1598년(선조)부터 1841년(헌종)까지 조선 후기 일본과의 외교관계를 기록한 책이다. 임진왜란 후 일본을 믿지못한 조선은 일본 사신이나 무역상인을 부산 이상 못올라오게 했다. 그래서 당시 대일 외교와 무역은 모조리 부산에서만 이루어졌다. 바로 그 때의 대일관계를 기록한 변례집요는 그래서 초량왜관의 기록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부산은 조선시대 작은 어촌에 지나지 않았다고 말들을 한다. 개항 후 항구로 발전하면서 동래까지 잡아먹어 컸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건 부산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아니다. 부산에서 초량왜관을 삭제한 역사다. 초량왜관에 거주한 일본인만 해도 500명이 넘었다. 그들을 상대하는 조선 측의 관리와 상인들과 초량왜관 경제권 내의 민간인들이 또 있었다. 초량왜관은 조선의 인삼 중국의 생사 일본의 은이 교역된 동북아 최대의 중계무역지였다.





동북아 최대의 중계무역지 부산이 조선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았을까? 그럴리는 없다. 유명한 동래상인이 바로 부산의 왜관을 근거지로 활동한 상인들이었다. 동래상인은 정치적 영향력도 발휘했다. 숙종 때 소론이 주도한 갑술환국에 정치자금을 대준 주요한 상인 5명 중 2명(의금부 수사기록인 '추안급국안')이 동래상인이었다. 이 사건으로 장희빈은 폐위되고 상인들의 자금을 받은 소론은 다시 정치 주도권을 갖게 된다.



변승업은 통신사로 일본에도 다녀왔다. 상상관 가마를 타고 있는 사람이 변승업이다.



부산은 조선시대 최고의 갑부도 만들었다. 초량왜관의 전신인 두모포왜관 때부터 왜학역관으로 활약했던 변승업이 바로 그다. 변승업은 왜관의 최고 책임자인 훈도에까지 올라갔고 왜관에서 획기적으로 재산을 불렸다. 변승업은 박지원의 소설 허생전에도 등장하는데 허생이 돈을 꾸는 장안의 최고 부자가 바로 변승업의 할아버지 변윤영이다. 변승업은 할아버지 윤영에게 집안의 치부 유래를 듣는 손자로 등장한다. 



사진출처 : 동래구청



임진왜란 때 일본은 부산을 통해 들어왔다. 이전에도 부산은 왜구의 침략에 시달렸다. 조선은 부산을 국방상의 요지로 만들었다. 그러나 임진왜란에서 본 일본의 무력은 상당했다. 일본과의 적대 정책은 비용이 많이 들고 손실도 컸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을 관리해야할 필요도 있었다. 조선은 부산에 군사적 성격의 진성이 많이 축조하기도 했지만 왜관을 통해 교역하고 통신사도 보내면서 달래는 정책도 병행했다.

 

조선시대 동래부사청의 대문인 동래독진대아문(東萊獨鎭大衙門)엔 이런 조선의 정책이 잘 나타나있다. 동래가 '경주진영'에서 독립했음을 알리는 이 문의 현판 '동래독진대아문'부터 동래가 중요한 지역임을 알리고 있는데 왼쪽 기둥의 진변병마절제영(鎭邊兵馬節制營)은 군사적 요충지임을, 오른쪽 기둥의 교린연향선위사(交隣宴餉宣慰司)는 일본사신을 접대하는 관아라는 뜻으로 부산이 외교적으로도 요충지임을 보여주고 있다.





부산은 초량과 동래 두 도심축으로 성장한 도시다. 조선시대 동래엔 전통적 삶이 꽃피웠고 초량엔 국제적 교류가 있었다. 초량이 있기에 동래의 영향력이 훨씬 더 커질 수 있었고 동래가 있기에 초량은 국제적 교류를 유지할 수 있었다. 부산의 역사에서 초량왜관을 삭제한다면 우리는 부산 반쪽의 역사만을 기억하는 것이다. 조상들이 동래부 대문에 내걸었던 편액 하나를 떼어내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부산이 초량왜관을 다시 기억해야하는 이유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